2017년 3월 2일 목요일

거대(巨大)한 뿌리- 더러운 역사 속 시인의 정체성 확인

뉴욕 포레스트 힐스 사우스 코압 아파트 정원의 거대한 떡갈나무 뿌리.








거대(巨大)한 뿌리


나는 아직도 앉는 법을 모른다 
어쩌다 셋이서 술을 마신다 둘은 한 발을 무릎 위에 얹고 
도사리지 않는다 나는 어느새 남쪽식으로 
도사리고 앉았다 그럴 때는 이 둘은 반드시 
이북 친구들이기 때문에 나는 나의 앉음새를 고친다 
8.15후에 김병욱이란 시인은 두 발을 뒤로 꼬고 
언제나 일본여자처럼 앉아서 변론을 일삼았지만 
그는 일본대학에 다니면서 4년 동안을 제철회사에서 
노동을 한 강자다 

나는 이사벨 버드 비숍여사와 연애하고 있다 그녀는 
1893년 조선을 처음 방문한 영국 왕립지학협회 회원이다 
그녀는 인경전의 종소리가 울리면 장안의 
남자들이 모조리 사라지고 갑자기 부녀자의 세계로 
화하는 극적인 서울을 보았다 이 아름다운 시간에는 
남자로서 거리를 무단통행할 수 있는 것은 교군꾼, 
내시, 외국인 종놈, 관리들뿐이었다 그리고 
심야에는 여자는 사라지고 남자가 다시 오입을 하러 
활보하고 나선다고 이런 기이한 관습을 가진 나라를 
세계 다른 곳에서는 본 일이 없다고 
천하를 호령한 민비는 한번도 장안 외출을 하지 못했다고……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 나는 광화문 
네거리에서 시구문의 진창을 연상하고 인환네 
처갓집 옆의 지금은 매립한 개울에서 아낙네들이 
양잿물 솥에 불을 지피며 빨래하던 시절을 생각하고 
이 우울한 시대를 패러다이스처럼 생각한다 
버드 비숍여사를 안 뒤부터는 썩어빠진 대한민국이 
괴롭지 않다 오히려 황송하다 역사는 아무리 
더러운 역사라도 좋다 
진창은 아무리 더러운 진창이라도 좋다 
나에게 놋주발보다도 더 쨍쨍 울리는 추억이 
있는 한 인간은 영원하고 사랑도 그렇다 

비숍여사와 연애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진보주의자와 
사회주의자는 네에미 씹이다 통일도 중립도 개좆이다 
은밀도 심오도 학구도 체면도 인습도 치안국 
으로 가라 동양척식회사, 일본영사관, 대한민국 관리, 
아이스크림은 미국놈 좆대강이나 빨아라 그러나 
요강, 망건, 장죽, 종묘상, 장전, 구리개 약방, 신전, 
피혁점, 곰보, 애꾸, 애 못낳는 여자, 무식쟁이,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땅에 발을 붙이기 위해서는 
―― 제3인도교의 물 속에 박은 철근 기둥도 내가 내 땅에 
박는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좀벌레의 솜털 
내가 내 땅에 박는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괴기영화의 맘모스를 연상시키는 
까치도 까마귀도 응접을 못하면 시꺼먼 가지를 가진 
나도 감히 상상을 못하는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거대한 뿌리’(1974년), 김수영(金洙暎: 1921~1968)>


는 누구인가? 사람은 왜 자신의 뿌리에 연연하는 걸까? 1976년 알렉스 팔머 헤일리 (Alex Palmer Haley)가 7대조 할아버지가 1767년 아프리카 감비아에서 노예로 팔려 미국으로 건너온 이후 6대에 걸쳐 온갖 박해를 견디며 살아온 자신의 가계(家系)를 추적 기록한 세미 도큐멘타리 작품 ‘뿌리(Roots)’를 발표했을 때도 많은 사람들이 열광했었다. 미 전역에서 뿌리 찾기 열풍이 불었고, 그 열풍은 헤일리에게 1977년 퓰리처상 및 전미도서특별상을 안겨주었으며, ‘뿌리’를 극화한 텔레비전 미니시리즈는 주요도시의 거리를 한산하게 만들었었다. 

그런데 왜 헤일리는 보통사람이라면 자랑은커녕 숨기고 싶은 자신의 뿌리를 파헤쳤을까? 비천한 아프리카 출신 노예의 후예라는 것을 스스로 만천하에 까발린 데 대한 창피함은 없었을까? 노예 후손이라는 신분이 창피한 것이 아니라 노예를 부린 사람들의 후손이 부끄러워해야 하는 만인평등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확신했기 때문일까? 2001년 전 뉴욕시경국장 버나드 B. 케릭이 자신의 어머니가 창녀였다는 것을 공개하는 회고록을 발표했을 때, 동두천 미군 기지촌 ‘양공주’ 출신 재미사업가 윤경순이 자서전 '나의 파란만장한 여정'을 통해 자신의 참담했던 과거를 고백했을 때, 비슷한 시기 한국 모 재벌의 사생아들이 친자확인 소송을 벌였을 때도 그런 의문이 꼬리를 물었었다. 

그런 의문의 자물쇠를 열지 못해 쩔쩔 맬 때 학자들은 정체성(正體性)이라는 유식한 열쇠를 내민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독일 출생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공부한 후 미국으로 이주한 정신분석학자 에릭 홈버거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이 주장했던 ‘자기 동일성’(自己同一性, Identity)이다. 에릭슨은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환경과의 교섭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거듭하게 되므로 생각이나 행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데도 불구하고 현재의 자기는 언제나 과거의 자기와 같은 자기이며 또 미래의 자기와 이어진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었다. 즉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면서, 그 질문에 대해 끊임없이 답변하면서, 자기를 확인해나가는 과정이 삶이라는 것이었다. 

김수영 시인과 1974년 민음사에서 펴낸 김수영 시선집 '거대한 뿌리'
시대의 정서를 대변하는 시인들도 끊임없이 자기 정체성을 확인한다. 일제 식민지 한반도에서 태어나 8.15 해방과 6.25 전쟁 등 시대의 굴곡을 온몸으로 뒹굴었던 시인 김수영(金洙暎: 1921~1968)이 박정희 독재 시절인 1974년 매우 시니컬한 시 ‘거대한 뿌리’를 발표한 것도 자기 정체성 확인을 위해서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네에미 씹’ ‘개좆’ ‘미국놈 좆대강’ 등 보통사람이라면 입에 올리기 조차 꺼려할 욕설을 내뱉는 자기 비하, 영국 왕립지학협회 회원 ‘이사벨 버드 비숍여사’와 개울에서 양잿물 솥에 불을 지피며 빨래하는 아낙네들과의 극단적인 대비를 통해 증폭시키는 열등감, 동양척식회사-일본영사관-대한민국 관리-미국놈 좆대강을 관통하는 민족의 비애 등등에도 불구하고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고 선언하는 오기가 자신의 ‘거대한 뿌리’에서 나오고 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제3인도교의 물 속에 박은 철근 기둥도 내가 내 땅에 박는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좀벌레의 솜털”에 지나지 않는다는 자기 정체성의 확인이 너무나 당당하여 시비를 걸기가 두려울 정도다. 

나는 누구인가? 에릭슨의 통찰을 빌려 말하자면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 또한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문(自問)에 대한 자답(自答), 그리고 그런 자문자답은 이 작품의 첫머리 “나는 아직도 앉는 법을 모른다”가 암시하듯이 끊임없는 자기 정체성 재확인에서 말미암는다는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 실제로 김수영은 1968년 6월 15일 밤 술자리가 끝나고 귀가하던 길에 서울 마포구 구수동에서 인도로 뛰어든 좌석버스에 치여 병원으로 옮겨진 뒤 다음날 새벽에 4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기 두 달 전 부산 펜클럽 주최 문학세미나에서 발표한 ‘시(詩)여, 침을 뱉어라-힘으로서의 시의 존재(存在)’를 통해 “시인은 자기가 시인이라는 것을 모른다....시인이 자기의 시인성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거울이 아닌 자기의 육안으로 사람이 자기의 전신을 바라볼 수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다”고 주장했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면서, 그 질문에 대해 끊임없이 답변하면서, 자기를 확인해나가는 과정이 삶이라는 에릭슨의 주장과도 일치한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시인에게 있어서 시작(詩作)은 끊임없는 자기 확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