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24일 금요일

학이시습(學而時習)-인(仁)의 실천사항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人不知而不溫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논어(論語) 학이(學而)편>

떤 사람의 생각은 그 사람의 '경험(經驗)'에서 나온다. 가느다란 실을 그린 실(糸)에 베틀 사이로 날실이 지나가는 모습을 그린 물줄기 경(경)이 붙어 만들어진 지날 경(經)은 '지나가다'라는 의미, 또 험(驗)은 말 마(馬)와 다 첨(僉)이 합쳐진 것으로서 '시험하다' '검증하다'라는 의미, 경험은 개인이 세상이라는 베틀 위를 실처럼 지나면서 감각기관을 통해 얻은 지각 또는 그 지각으로 결합된 지식의 축적을 말한다. 그게 개인차를 보인다는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 똑 같은 사물에 대한 개개인의 느낌이나 인식이 일치하지 않는 것도 그런 개인차 때문이거니와, 그래서 이성에 의한 추론을 중시하는 합리주의 철학의 반대편에 서 있는 경험주의 철학자들은 사물 인식의 원천으로 오로지 경험만을 손꼽았었다. 

세상은 넓고 개인의 경험은 그 사람의 머리통 속만큼이나 좁다? 그렇다. 인간 세상의 모든 갈등과 충돌 또한 개개인의 경험 차이 때문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일수록 자신의 경험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타인의 경험을 인정하지 않으며, 그래서 각기 다른 경험들은 서로 타협할 때까지 충돌할 수밖에 없으며, 그런 충돌의 대가를 뻐저리게 치른 후에야 자신의 경험이 타인의 경험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다는 것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그게 인간의 한계라는 것을 누구라서 부인하랴. 평생 천하를 떠돌면서 더불어 살 수밖에 없는 인간세상에서의 갈등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무진 애를 썼던 공자(孔子: 기원전 551-기원전 479)의 어록 논어(論語) 첫머리에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가 등장하는 것도 개개인 머리통 속만큼이나 좁은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라는 충고로 받아들이면 틀림이 없다. 지금도 중고등학교 교실에서는 영어나 수학 등 자신이 모르는 것을 배워서 써먹으라는 말쯤으로 가르치지만 그건 수박 겉핥기, 배움이라는 건 나이 어린 학생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에만 매달려 안달복달 아웅다웅 우여곡절을 겪을 수밖에 없는 인간이 죽을 때까지 끌어안고 살아야할 숙제라는 공자의 관찰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중국 산동성 소재 공자묘
더불어 살 수밖에 없는 이 세상에서의 삶이 외롭고 권태로운 것도 개개인의 경험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이라는데 토를 달지 못한다. 그걸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하여 공자는 사족같은 설명을 추가한다.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어떤 사람들은 붕(朋)을 학교 운동장에서 공놀이나 함께 하면서 노는 친구나 벗 쯤으로 해석하지만 천만의 말씀, 왜 공자가 벗 우(友) 대신 무리 붕(朋)을 썼는지를 모르는 무식함의 소치다. 붕은 경험이 비슷하고 거기서 나오는 생각도 비슷하여 말이 잘 통하고 일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지기(知己), 그래서 이해(利害)나 주의(主義) 따위를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뭉친 무리를 '붕당(朋黨)'이라고 하거니와, 삶이 외롭고 권태로울 때 그런 붕이 먼 길을 마다 않고 찾아와 세상만사를 논하면서 일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면 얼마나 즐겁겠느냐는 의미로 해석하는 게 옳다.

같은 부모로부터 핏줄을 이어받아 머리가 굳어질 때가지 함께 먹고자란 형제들 사이에서도 경험과 생각은 모두 제각각, 하물며 이해타산이 거미줄처럼 얽힐 수밖에 없는 인간 세상에서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이해해주는 지기를 찾기가 쉬운가? 원초적으로 자기중심적일 수밖에 없는 인간에게 있어서 지기 찾기는 이해관계의 파도에 실려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물거품 잡기, 그래서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人不知而不溫 不亦君子乎), 세상 사람들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을 내지 않아야 군자(君子)라는 공자의 깨달음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학이시습'이야말로 공자 사상의 핵심인 인(仁)의 실천사항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2022년 3월 4일 금요일

유관순-지저분한 한국사회의 역설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유관순 열사. CCGN TV 화면 캡쳐.

유관순

그리운 미친년 간다
햇빛 속을 낫질하며 간다
쫓는 놈의 그림자는 밟고 밟으며
들풀 따다 총칼 대신 나눠주며 간다
그리움에 눈감고 쓰러진 뒤에
낫 들고 봄밤만 기다리다가
날 저문 백성들 강가에 나가
칼로 물을 베면서 함께 울며 간다
새끼줄에 꽁꽁 묶인 기다림의 피
쫓기는 속치마에 뿌려놓고 그리워
간다. 그리운 미친년 기어이 간다
이 땅의 발자국마다 입맞추며 간다 

                    <1979, 창작과비평사, 정호승(鄭浩承; 1950년 1월 3일~ )>    


미가 모순되고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을 '역설(逆說, paradox)'이라고 한다. 영어 'paradox'의 뿌리는 ‘반(反)’ ‘역(逆)’을 의미하는 ‘para’와 '생각하다' '보이다'라는 의미의 'dokein'이 합쳐진 고대 그리스어 'paradoxon', 수사학적으로는 '반어법(irony)'과 '형용 모순(Oxymoron)'으로 나뉘어진다. 반어법은 실수로 오물을 뒤집어쓴 사람에게 “꼴 좋다”라고 빈정거리는 것처럼 진술 자체에는 아무런 모순이 없지만 겉으로 표현하는 말과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가 정 반대인 반면 양립할 수 없는 두 단어를 의도적으로 짜맞추어 강조 효과를 노리는 '형용모순(Oxymoron)'은 '소리없는 아우성' 등에서 보듯 진술 자체가 모순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다르다. 'oxymoron'은 '날카로운(sharp)' '예리한(keen)'을 의미하는 'oxy'에 '멍청한(foolish)'을 의미하는 'mōros'가 붙어 만들어진 고대 그리스어 'oxymōros'로서 단어 자체 또한 형용모순이다.

경남 하동군 출신으로 경희대 국문과를 나와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첨성대'가 당선돼 등단한 시인 정호승(鄭浩承, 1950년 1월 3일~ )은 '역설의 시인'이라고 불릴만 하다. '별들은 따뜻하다' '흔들리지 않는 갈대' 등에서 보듯 대부분의 작품들이 역설로 도배되어 있다. 1979년 창작과비평사에서 간행한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에 실린 '유관순'의 경우 “그리운 미친년 간다”라고 첫 문장부터 역설로 시작한다. 평범한 사람들이라면 '그리운'이라는 단어와 '미친년'이라는 단어를 보자마자 역설적 표현이라는 것을 부인하지 않을 터, 그게 역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시인 정호승을 '미친년'을 그리워하는 '미친놈'이라고 우기는 것이나 마찬가지, 그래서 “칼로 물을 베면서 함께 울며 간다/ 새끼줄에 꽁꽁 묶인 기다림의 피”라는 역설적 표현 역시 자연스레 읽히는 게 아닌가?! 역설이 뭔지도 모르면서 칼로 물을 벤다든지 피를 새끼줄로 꽁꽁 묶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침 튀기는 사람들은 이 작품을 제대로 감상할 수준이 되지 못한다는 데 아무도 토를 달지 않으리라.

한국사회에서 정호승의 '유관순'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지 고개가 갸우뚱거려진다. 엊그제 3.1절을 맞아 더불어민주당 이병훈 의원이 “유관순 열사를 모욕하는 시”를 SNS에 올렸다 삭제한 것에 대해 제1야당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민주당 차원의 사과를 요구하는 해프닝이 벌어졌을 때도 그런 생각이 들었었다. 이 대표가 페이스북에 “민주당 이병훈 의원님이 유관순 열사에 대해서 굉장한 표현상의 문제가 있는 시를 삼일절에 회람시키신 이유는 뭘까. 유관순 열사 모욕해서 어떤 지지층에 소구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는 글을 올려 뒷다리(?)를 건 데 대해서만 눈을 흘기는 게 아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정론지를 자처하는 일간지들이 '그리운 미친년'이라는 역설적 표현 하나를 이해하지 못해 이구동성으로 “유관순 열사를 모욕하는 시”라고 떠들어댄 것도 한심하지만 그런 무식한 아우성에 떠밀려 “3·1절을 맞아 올린 게시물에 부적절한 시를 인용해서 물의를 빚었다”고 뒤통수 긁으면서 페이스북 글을 스스로 삭제한 이병훈 의원의 당당하지 못함에도 눈쌀이 찌푸려진다.

1979년 창작과비평사에서 펴낸 '슬픔이 기쁨에게'
무식한 선진국? 삼성 TV가 전세계 안방을 차지하고 현대차가 전세계 하이웨이를 질주하는 세상이 됐건만 40여년전에 지어진 창작시의 역설 하나도 제대로 공감하지 못한다? “참 잘들 놀고 있다”는 '칭찬'이 절로 나온다. 영재고로 유명한 서울과학고에서 월반하여 1년 조기졸업한 후 전세계 초일류 하버드대까지 나온 이준석 대표, 광주제일고와 고려대를 나와 전남대에서 박사학위까지 취득한 이병훈 의원, 한국사회의 지식인을 자처하는 유력 일간지 기자들이 정말로 '그리운 미친년'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들 그게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눈 질끈 감고 생트집을 잡는 한국사회의 수준이 개탄스럽다. '그리운 미친년' 논란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어서 더 역겹다. '유관순'은 정호승이 1979년 창작과비평사를 통해 펴낸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에 실린 연작시 9편 중의 하나, 정치판에서 뉴라이트니 뭐니 하는 친일파 두둔 세력과 그 반대편에 선 사람들이 코피 터지게 패싸움을 벌이던 지난 2013년 무렵 유관순 열사 유족이 “30여 년 동안 시가 인터넷 등에 돌아다니는 것을 전혀 몰랐다. 열사에 대한 명예훼손이자 모독”이라고 항의하자 진심에선지 등 떠밀려서였는지 정호승은 “순국선열 앞에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며, 대한민국 시인으로서 석고대죄하며 참회하고 사죄 드려야 마땅한 일”이라고 사과했었다. 그런데, 지금 유관순을 '열사'로 떠받들면서 '그리운 미친년'에 대해 거품을 무는 세력이 당시엔 안중근 등을 테러리스트로 몰아붙였다는 것을 기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GDP 기준 경제규모 세계 10위를 넘나드는 한국의 사회가 지저분한 역설의 쓰레기통이 돼버린 것 같아 씁쓸함을 금할 수 없다. 독도가 외롭게 떠 있는 바다가 한국에서는 동해지만 일본에서는 서해, 일제 강점기 시집도 안 간 처녀의 몸으로 독립 만세 운동에 앞장 서다가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한 유관순을 한국인의 눈으로 보면 열사지만 일본인의 눈으로 보면 '미친년',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 살해한 안중근도 한국인에게는 '독립운동가'이지만 일본인에게는 '테러리스트', 그걸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어느 나라 사람인지 오락가락하면서 걸핏하면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를 외치는 한국의 정치인들에게 '역설'이 뭔지 다시 공부해볼 것을 권고한다. '가장 더럽고 치사한 애국자들'이라는 형용모순 속에서 허우적거리지 말라는 말이다. 멍청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