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4일 금요일

유관순-지저분한 한국사회의 역설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유관순 열사. CCGN TV 화면 캡쳐.

유관순

그리운 미친년 간다
햇빛 속을 낫질하며 간다
쫓는 놈의 그림자는 밟고 밟으며
들풀 따다 총칼 대신 나눠주며 간다
그리움에 눈감고 쓰러진 뒤에
낫 들고 봄밤만 기다리다가
날 저문 백성들 강가에 나가
칼로 물을 베면서 함께 울며 간다
새끼줄에 꽁꽁 묶인 기다림의 피
쫓기는 속치마에 뿌려놓고 그리워
간다. 그리운 미친년 기어이 간다
이 땅의 발자국마다 입맞추며 간다 

                    <1979, 창작과비평사, 정호승(鄭浩承; 1950년 1월 3일~ )>    


미가 모순되고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을 '역설(逆說, paradox)'이라고 한다. 영어 'paradox'의 뿌리는 ‘반(反)’ ‘역(逆)’을 의미하는 ‘para’와 '생각하다' '보이다'라는 의미의 'dokein'이 합쳐진 고대 그리스어 'paradoxon', 수사학적으로는 '반어법(irony)'과 '형용 모순(Oxymoron)'으로 나뉘어진다. 반어법은 실수로 오물을 뒤집어쓴 사람에게 “꼴 좋다”라고 빈정거리는 것처럼 진술 자체에는 아무런 모순이 없지만 겉으로 표현하는 말과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가 정 반대인 반면 양립할 수 없는 두 단어를 의도적으로 짜맞추어 강조 효과를 노리는 '형용모순(Oxymoron)'은 '소리없는 아우성' 등에서 보듯 진술 자체가 모순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다르다. 'oxymoron'은 '날카로운(sharp)' '예리한(keen)'을 의미하는 'oxy'에 '멍청한(foolish)'을 의미하는 'mōros'가 붙어 만들어진 고대 그리스어 'oxymōros'로서 단어 자체 또한 형용모순이다.

경남 하동군 출신으로 경희대 국문과를 나와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첨성대'가 당선돼 등단한 시인 정호승(鄭浩承, 1950년 1월 3일~ )은 '역설의 시인'이라고 불릴만 하다. '별들은 따뜻하다' '흔들리지 않는 갈대' 등에서 보듯 대부분의 작품들이 역설로 도배되어 있다. 1979년 창작과비평사에서 간행한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에 실린 '유관순'의 경우 “그리운 미친년 간다”라고 첫 문장부터 역설로 시작한다. 평범한 사람들이라면 '그리운'이라는 단어와 '미친년'이라는 단어를 보자마자 역설적 표현이라는 것을 부인하지 않을 터, 그게 역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시인 정호승을 '미친년'을 그리워하는 '미친놈'이라고 우기는 것이나 마찬가지, 그래서 “칼로 물을 베면서 함께 울며 간다/ 새끼줄에 꽁꽁 묶인 기다림의 피”라는 역설적 표현 역시 자연스레 읽히는 게 아닌가?! 역설이 뭔지도 모르면서 칼로 물을 벤다든지 피를 새끼줄로 꽁꽁 묶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침 튀기는 사람들은 이 작품을 제대로 감상할 수준이 되지 못한다는 데 아무도 토를 달지 않으리라.

한국사회에서 정호승의 '유관순'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지 고개가 갸우뚱거려진다. 엊그제 3.1절을 맞아 더불어민주당 이병훈 의원이 “유관순 열사를 모욕하는 시”를 SNS에 올렸다 삭제한 것에 대해 제1야당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민주당 차원의 사과를 요구하는 해프닝이 벌어졌을 때도 그런 생각이 들었었다. 이 대표가 페이스북에 “민주당 이병훈 의원님이 유관순 열사에 대해서 굉장한 표현상의 문제가 있는 시를 삼일절에 회람시키신 이유는 뭘까. 유관순 열사 모욕해서 어떤 지지층에 소구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는 글을 올려 뒷다리(?)를 건 데 대해서만 눈을 흘기는 게 아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정론지를 자처하는 일간지들이 '그리운 미친년'이라는 역설적 표현 하나를 이해하지 못해 이구동성으로 “유관순 열사를 모욕하는 시”라고 떠들어댄 것도 한심하지만 그런 무식한 아우성에 떠밀려 “3·1절을 맞아 올린 게시물에 부적절한 시를 인용해서 물의를 빚었다”고 뒤통수 긁으면서 페이스북 글을 스스로 삭제한 이병훈 의원의 당당하지 못함에도 눈쌀이 찌푸려진다.

1979년 창작과비평사에서 펴낸 '슬픔이 기쁨에게'
무식한 선진국? 삼성 TV가 전세계 안방을 차지하고 현대차가 전세계 하이웨이를 질주하는 세상이 됐건만 40여년전에 지어진 창작시의 역설 하나도 제대로 공감하지 못한다? “참 잘들 놀고 있다”는 '칭찬'이 절로 나온다. 영재고로 유명한 서울과학고에서 월반하여 1년 조기졸업한 후 전세계 초일류 하버드대까지 나온 이준석 대표, 광주제일고와 고려대를 나와 전남대에서 박사학위까지 취득한 이병훈 의원, 한국사회의 지식인을 자처하는 유력 일간지 기자들이 정말로 '그리운 미친년'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들 그게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눈 질끈 감고 생트집을 잡는 한국사회의 수준이 개탄스럽다. '그리운 미친년' 논란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어서 더 역겹다. '유관순'은 정호승이 1979년 창작과비평사를 통해 펴낸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에 실린 연작시 9편 중의 하나, 정치판에서 뉴라이트니 뭐니 하는 친일파 두둔 세력과 그 반대편에 선 사람들이 코피 터지게 패싸움을 벌이던 지난 2013년 무렵 유관순 열사 유족이 “30여 년 동안 시가 인터넷 등에 돌아다니는 것을 전혀 몰랐다. 열사에 대한 명예훼손이자 모독”이라고 항의하자 진심에선지 등 떠밀려서였는지 정호승은 “순국선열 앞에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며, 대한민국 시인으로서 석고대죄하며 참회하고 사죄 드려야 마땅한 일”이라고 사과했었다. 그런데, 지금 유관순을 '열사'로 떠받들면서 '그리운 미친년'에 대해 거품을 무는 세력이 당시엔 안중근 등을 테러리스트로 몰아붙였다는 것을 기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GDP 기준 경제규모 세계 10위를 넘나드는 한국의 사회가 지저분한 역설의 쓰레기통이 돼버린 것 같아 씁쓸함을 금할 수 없다. 독도가 외롭게 떠 있는 바다가 한국에서는 동해지만 일본에서는 서해, 일제 강점기 시집도 안 간 처녀의 몸으로 독립 만세 운동에 앞장 서다가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한 유관순을 한국인의 눈으로 보면 열사지만 일본인의 눈으로 보면 '미친년',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 살해한 안중근도 한국인에게는 '독립운동가'이지만 일본인에게는 '테러리스트', 그걸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어느 나라 사람인지 오락가락하면서 걸핏하면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를 외치는 한국의 정치인들에게 '역설'이 뭔지 다시 공부해볼 것을 권고한다. '가장 더럽고 치사한 애국자들'이라는 형용모순 속에서 허우적거리지 말라는 말이다. 멍청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