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18일 화요일

꽃나무-주관과 객관 사이의 인지부조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시 찰스 강변에 벚꽃이 활짝 피었다.


꽃나무


벌판한복판에꽃나무하나가있소. 근처(近處)에는꽃나무가하나도없소. 꽃나무는제가생각하는꽃나무를 열심(熱心)으로생각하는것처럼열심으로꽃을피워가지고섰소. 꽃나무는제가생각하는꽃나무에게갈수없소. 나는막달아났소. 한꽃나무를위하여그러는것처럼나는참그런이상스러운흉내를 내었소.

                           <가톨릭 청년 2호, 1933.7, 이상(李箱: 1910~1937)>

간이 스트레스 및 불안의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실제적인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속이면서 대체하는 양식을 ‘방어 기제(防禦機制, Defense Mechanism)’라고 한다. 성격발달 수준이나 불안 정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나지만 무의식적으로 사실을 거부하거나 왜곡시킨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 중 하나가 투사(投射, Projection)다.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충동이나 갈등의 원인이 자신 내부에 있는 것을 잘 알면서도 마치 자신 외부에 있는 것처럼 인식하고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 번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선거인단 확보에서 이겨 대통령에 당선되기는 했지만 유효 득표수에서는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후보에게 뒤진 것으로 나타나자 이민자나 민주당원들의 불법 투표 때문일 것이라고 우겼던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자신의 잘못을 돌이켜보기는커녕 모든 게 자신을 반대하는 세력이 음모를 꾸민 탓이라고 강변했던 한국의 박근혜 전 대통령, 자신이 못 나서 못 살고 있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정치인들의 탓이라고 몰아붙이면서 촛불집회니 태극기 집회니 이런 저런 데모에 앞장섰던 사람들도 일종의 투사를 한 것이었다고 보면 틀림이 없다. 

투사를 하는 사람들은 실체보다도 그 실체에 대한 자신의 믿음이나 생각을 우선한다. 그래서 생겨나는 게 인지부조화(認知不調和, Cognitive dissonance)다. 자신의 생각이나 믿음과 객관적 실체가 다르게 나타날 때 자기 정당화를 통해 양자 사이의 불일치를 제거하려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저런 의혹과 추문으로 손가락질을 받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걸핏하면 ‘위대한 미국’ 또는 ‘미국 우선주의’를 외치고 탄핵에 이어 구속까지 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아직까지도 “어떠한 경우에도 사익·사심 추구가 없었다”는 말을 자꾸만 반복하는 것도 자신들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임은 두말하면 잔소리, 그런 사람들이 인지부조화에서 벗어나려면 주관(主觀)과 객관(客觀)의 차이부터 다시 학습해야 한다는 것도 두말하면 잔소리다. 

주관은 감각하고 의식하고 사고하는 대상에 작용하는 것 즉 의식 그 자체를 말한다. 실천을 강조할 때에는 주체(主體)라고도 하는데 관념론자들은 “객관은 주관에 의하여 구성되고 주관에 좌우된다”고 여겨 주관의 우월성을 주장하지만 유물론자들은 “주관은 최고도로 조직된 물질 즉 뇌의 작용으로서 객관을 반영·모사(模寫)한다”고 폄하한다. 대상의 객관성과 배치되는 독선적이고 비과학적인 태도를 '주관적'이라고 비난하는 풍조도 거기서 생겨났다고 보면 틀림이 없다. 반면 객관은 주관의 대상으로 인식되는 것 즉 대상(對象)을 말한다. 관념론자들은 “객관은 자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의 작용으로써 만들어진 2차적(二次的)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유물론자들은 “객관은 주관의 바깥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즉 인식 대상이나 실천 대상이 된다”고 반박한다. 어떤 대상을 접했을 때 종교인이나 자기 믿음이 강한 관념론자들은 자신의 믿음이나 생각으로 인식하려고 덤벼들지만 과학자들이나 유물론자들은 자신의 믿음이나 생각을 배제한 채 있는 그대로를 파악하려고 애쓴다. 미국사회나 한국사회나 갈등이 점점 고조되는 것도 주관과 객관의 충돌 때문이라고 보면 틀림이 없다. 나의 주관을 객관이라고 믿으면서 너도 수용하라고 강요한다든지, 자신의 주관과 객관적 실체가 불일치할 때마다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한다든지, 내가 수용하기 힘든 갈등이나 불안을 네 탓이라고 몰아붙이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시인 이상
서울 출신으로 보성고보(普成高普)를 거쳐 경성고공(京城高工) 건축과를 나온 후 총독부 건축기수로 일하다가 1931년 ‘이상한 가역반응(可逆反應)’ 등을 <조선과 건축>지에 발표함으로써 등단한 시인 이상(李箱: 1910~1937)이라면 주관과 객관의 차이를 좀 더 잘 설명해줄 수 있을 것 같다. 1933년 3월 객혈로 건축기수직을 사임하고 요양하면서 절망감을 극복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문학을 시작했다는 이상이야말로 주관과 객관의 차이를 말할 수 있는 자격이 있어 보인다는 말이다. 공사장 인부들이 그의 이름을 잘 몰라 일본식으로 '리상'이라고 불러 자신의 필명을 '이상'이라고 정했다는 설도 주관과 객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거니와, 1934년 자신의 주관으로 쓴 시 ‘오감도(烏瞰圖)’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했으나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독자들의 객관적인 항의로 중단해야만 했으며, 자신은 결핵을 극복하기 위해 도쿄행을 결행하였으나 얼렁뚱땅 불온사상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병보석으로 풀려나온 후 도쿄대 부속병원에서 병사할 때도 주관과 객관의 차이를 곰곰이 곱씹어봤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자신의 주관이 세상 사람들의 ‘주관적인 객관’에 의해 거부당할 때마다 충격을 받았던 그의 의식은 분열할 수밖에 없었을 터, 시대를 잘못 타고난 시인의 마음고생에 연민의 정을 금할 수 없다. 

이상이 1933년 7월 <가톨릭 청년> 2호에 발표한 작품 ‘꽃나무’도 주관과 객관의 차이에서 해방되고 싶은 욕구의 표출로 보인다. 이 작품의 주제는 ‘꽃나무’가 상징하는 객관적 자아와 ‘나’가 대변하는 주관적 자아의 충돌, “꽃나무는제가생각하는꽃나무를열심(熱心)으로생각하는것처럼열심으로꽃을피워가지고섰소”는 주관적 인식, “꽃나무는제가생각하는꽃나무에게갈수없소”는 자신의 주관과는 차이를 보이는 현실의 객관적 인식, “나는막달아났소”는 그런 현실로부터의 도피, “한꽃나무를위하여그러는것처럼나는참그런이상스러운흉내를 내었소”는 인지부조화의 자각....소위 자의식(自意識)의 분열로 치닫고 있음을 본다. 자신의 주관과 객관의 사이의 고뇌를 콕 찍어내고 있음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이상이 당대의 ‘천재시인’으로 일컬어지는 것도 그런 주관적인 자의식의 분열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탁월한 능력을 지녔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너도 나도 남 탓하는 게 유행처럼 번지는 요즘 읽고 또 읽어볼 만한 시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